'이만갑' 30년만에 봉인 해제...북한 비밀 외교문서 조명

'이제 만나러 갑니다' (사진=TV조선)
'이제 만나러 갑니다' (사진=TV조선)

18일(일)에 방송되는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 (이하 ‘이만갑’)에서는 30년 만에 봉인 해제된 북한의 비밀 외교문서에 대해 알아본다.

30년 만에 공개된 비밀 외교문서가 무려 38만여 쪽으로 알려져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이날 ‘이만갑’에서는 수많은 외교문서 중에서도 남북 현대사에서 가장 뜨거웠던 두 사건인 ‘1989년 임수경 무단 방북 사건’과 ‘1994년 김일성 사망 미스터리’를 집중 조명한다.

먼저, 남북한 양측에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던 ‘임수경 무단 방북 사건’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이번에 공개된 외교문서에는 임수경의 동선과 발언이 시각 단위로 기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에 따른 한국 정부, 북측, 유엔 간의 치열한 외교적 조율 과정까지 낱낱이 담겨 있다는데. 한편, 귀환 당시 임수경은 “나는 무조건 판문점으로 돌아간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한국 정부는 재방북 가능성을 우려해 귀환을 불허했고 이에 임수경은 외교사에 남을 ‘폭탄선언’을 했다고. 이 모든 갈등과 충돌의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외교문서, 지금껏 알려지지 않았던 그 뒷이야기들을 이만갑에서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두 번째로는 지금까지도 음모론이 제기되고 있는 김일성 사망 미스터리에 대한 외교 문건을 살펴본다. 1994년 7월, 북한의 1대 독재자 김일성의 갑작스러운 사망은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는데. 그의 죽음이 유독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김일성이 사망 이틀 전까지도 공개연설을 하고 활발하게 활동했을 뿐만 아니라,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을 단 17일 앞두고 갑자기 숨을 거뒀기 때문이라고. 이번에 공개된 외교문서를 보면 해외 각국에 주재하던 북한 외교관들의 생생한 반응을 알 수 있다고 전해져 이목이 집중된다. 특히 북한 외교관들은 김일성의 사망 소식을 전달받지 못한 채 “조국의 지시만을 기다린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고. 심지어 사망 발표 직후에도 이를 믿지 않고 항의했다는데. 당시 김일성의 죽음에 대한 매뉴얼이 없어 북한 외교관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었다는 비화가 밝혀져 충격을 더한다. 그뿐만 아니라 베트남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북한 대사관에서는 이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어떤 방식으로 본국에 보고했는지에 대한 기록도 이번 기회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됐는데. 이날 방송에서는 공개된 외교문서 속 김일성의 죽음에 대한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살펴본다.

한편, 김일성 사망 이후 권력을 이어받은 김정일에 대한 각국의 반응도 외교문서를 통해 공개되었다고 전해져 관심이 집중된다. 김정일의 정치적 수완에 대해 의구심을 표하며 통치 능력과 카리스마를 의심한 러시아부터 부정적인 표현을 적나라하게 사용한 미국과 스위스까지 각국이 김정일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가운데, 심지어 사우디 문서에서는 김정일의 ‘김일성 암살설’까지 제기되며 수많은 음모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데. 30년 만에 공개된 외교문서에는 김정일의 성격, 리더십, 인간관계에 대한 ‘매운맛 평가’가 그대로 담겨 있어 스튜디오 전체를 충격과 웃음으로 몰아넣었다는 후문이다.

30년 만에 봉인 해제된 북한의 비밀 외교문서에 대한 이야기는 5월 18일 일요일 밤 10시 40분에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