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속 유엔 경고…“COP30 전까지 국가 감축계획 내놔야”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유엔이 각국에 기후변화 대응 계획 제출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올해 2월 제출 기한을 이미 넘긴 상황에서 반년이 지났지만, 주요 배출국 상당수가 여전히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11월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를 앞두고 국제사회의 압박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NDC는 파리협정에 따라 모든 당사국이 마련해야 하는 국가별 기후 로드맵으로, 2035년까지 어떤 방식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담아야 한다. 그러나 기한이었던 지난 2월 대부분의 국가가 제출하지 못했고, 여전히 EU를 비롯한 주요 배출국들의 계획은 지연되고 있다.



특히 EU는 2040년 기후 목표 설정을 둘러싼 내부 협상이 길어지면서 제출 시한을 넘겼다. 프랑스와 폴란드 등 일부 회원국은 법적 구속력을 갖는 2040년 목표 확정을 미뤄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프랑스는 논의를 정상급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합의 지연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이는 EU 차원의 기후 계획에도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사이먼 스틸 유엔 기후변화 사무총장은 최근 약 200개국에 서한을 보내 “국가 기후계획은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경제 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의 동력이며, 인류가 기후위기에 맞서는 초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9월 말까지 제출된 계획만이 COP30 전 공개될 ‘중요한 업데이트 보고서’에 포함된다고 지적하며, 이달 안 제출을 강력히 요청했다.



스틸 사무총장은 이미 계획을 제출한 국가들을 높이 평가하며, 강력한 감축 목표를 내놓은 국가들이 “청정에너지 전환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9월 24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를 각국 정상들이 새로운 정책을 발표할 무대로 활용하길 독려했다. 이는 COP30 개막 전 국제 여론을 환기하고 각국의 정치적 의지를 시험하는 무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향후 10년이 기후위기 대응의 성패를 가를 결정적 시기라고 경고하고 있다. 하지만 각국의 지연으로 배출량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기후재난은 점점 뚜렷한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번 COP30은 단순한 협상이 아니라 국제사회가 기후위기 대응 신뢰를 회복할 마지막 기회로 평가된다.



결국 유엔의 촉구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닌 지구 공동체를 향한 최후의 경고에 가깝다. 각국이 이번에도 기한을 놓친다면, 국제사회는 더 이상 기후위기 대응의 신뢰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에서 9월은 사실상 마지막 제출 시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