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 선비문화도시 알리며 폐막

2025 한국선비문화축제 고유제가 진행되고 있다
2025 한국선비문화축제 고유제가 진행되고 있다

(영주=국제뉴스) 백성호 기자 = 영주시 대표 문화축제인 ‘2025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가 지난 5일 폐막식을 끝으로, 5월 3일부터 사흘간 이어진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선비의 온기, 만남에서 빚어진 향기’를 주제로 한 이번 축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 선비 생활상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선비촌,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만날 수 있는 선비세상, 시민들에게 친숙한 공간인 문정둔치 등 영주 전역에서 펼쳐졌다.

제7회 대한민국 선비대상 시상식 단체사진(왼쪽 두번째 김진영 국제교류협회장)
제7회 대한민국 선비대상 시상식 단체사진(왼쪽 두번째 김진영 국제교류협회장)

전 세대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체험과 전시, 공연이 어우러지며 시민과 관광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축제 첫날인 3일, 시원한 문정둔치를 배경으로 고유제가 봉행되며 축제의 막이 올랐다.

선비문화 축제를 찾은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선비문화 축제를 찾은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이어 열린 개막식에는 1,500여 명의 시민과 관광객이 참석한 가운데 ‘제7회 대한민국 선비대상’ 시상식, 주제 공연, 초대가수 축하무대가 이어지며 현장을 뜨겁게 달궜다.

둘째 날인 4일에는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들이 한복을 입고 네일아트, 조선시대 가채 체험, 합죽선 가훈 쓰기 등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을 즐겼다.

선비주제관인 갓생관을 찾은 관광객들이 체험을 하고 있다
선비주제관인 갓생관을 찾은 관광객들이 체험을 하고 있다

‘어린이 선비문화 콘테스트’가 열린 주무대에서는 어린이 한복 패션쇼와 댄스대회가 펼쳐져 어린이들이 귀여운 모습을 선보이며 관객들에게 큰 웃음과 즐거움을 선사했다.

축제의 또다른 무대인 선비촌 일원에서는 지역 문화예술인 경연대회가 열려, 다양한 노래와 악기 연주로 축제의 흥겨운 분위기를 더했다.

어린이 선비문화 콘테스트가 열렸다
어린이 선비문화 콘테스트가 열렸다

마지막 날인 5일에는 어린이날을 맞아 빅벌룬쇼, 매직버블쇼, 태권무 공연 등 특별공연으로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가족 단위 방문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선비촌 죽계루 공연장에서는 마당놀이 '덴동어미 화전놀이'가 선보여 외지 관광객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선비주제관에서 아이들이 갓을 쓰며 체험을 하고 있다
선비주제관에서 아이들이 갓을 쓰며 체험을 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선비 주제관'이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선비 주제관은 선비의 생활상을 소개하고, 관련 소품을 직접 만져보며 선비의 일상을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돼 높은 호응을 얻었다.

야간에는 한낮의 축제의 열기를 이어 50점의 선비 유등 전시가 아름다운 야간 경관을 연출해 방문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들이 전통복장체험을 하고 있다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들이 전통복장체험을 하고 있다

이번 축제는 축제장 전역에서 마당극과 세시풍속 놀이 등 전통 체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운영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어우러져 즐기는 축제 분위기를 자아냈다.

선비촌 일원에서는 마패·갓 만들기, 에코백 만들기 등의 체험이 마련돼 어린이와 가족단위 방문객에게 색다른 추억을 선사했다.

축제장을 찾은 방문객들이 폐막공연을 즐기고 있다.
축제장을 찾은 방문객들이 폐막공연을 즐기고 있다.

여기에 지역 예술인 경연대회와 덴동어미 화전놀이 공연이 흥을 더했고, 유복예절 교육과 다도 체험도 전통문화의 가치를 체감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선비세상에서는 어린이 선비축제가 열려 어린이 장원급제, 전통 무예 시범, 앨리스 퍼레이드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가족 단위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축제장을 찾은 방문객들이 폐막공연을 즐기고 있다.
축제장을 찾은 방문객들이 폐막공연을 즐기고 있다.

이재훈 영주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선비문화축제를 통해 영주시민은 물론, 많은 관광객들이 선비정신과 전통문화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우리 고유문화와 선비정신의 정신적 자산을 널리 알리는 대표축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