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지난해 교육발전특구 2차 공모에서 예비 지역으로 선정된데 이어, 올해 재평가를 통과하며 시범지역 '선도지역' 지위를 획득했다.
시범운영 기간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이며, 연차평가를 거쳐 정식 특구 지정 여부가 확정된다.
교육발전특구 사업은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및 공공기관이 협력해 지역 특성 기반 교육혁신 모델 구축, 산업 연계형 인재 양성, 정주 여건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교육부 공모사업이다.
경주시는 역사·문화·관광산업과 미래차·혁신원자력 산업을 융합한 ‘정주형 미래인재 양성 모델’을 제안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지정으로 경주시는 ▶경주형 돌봄체계 및 유보·유초 연계 프로그램 구축 ▶MICE 협약형 특성화고 및 경북형 마이스터고 지정 추진 ▶지역산업 맞춤형 전문 인재 양성 ▶청년 정주 지원을 위한 ‘경주시 인재뱅크지원센터’ 설립 등 전략 과제를 본격화한다.
특히 ‘아시아 최고 수준의 관광산업 인재 양성’을 목표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 풍부한 관광 자원을 활용한 전문 교육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지정은 경주가 지역 산업과 연계한 실질적인 인재 양성에 나설 수 있는 제도적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며, "지역사회, 대학, 기업이 함께 교육 혁신을 완성하고 인구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교육부 지정으로 경북도 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은 기존 13개 시·군에서 경주시와 문경시가 추가돼 총 15개로 확대됐다. 시범지역은 연간 30억 원, 총 120억 원 규모의 재정지원과 각종 교육 관련 특례를 부여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