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식 의원 "교단 떠나는 젋은 교사, 지방이 더 위험"

국회 교육위원회 김대식 의원(부산 사상구, 국민의힘)
국회 교육위원회 김대식 의원(부산 사상구, 국민의힘)

'전국 시도교육청 중도퇴직 교원 현황' 분석 발표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대식 의원(부산 사상구, 국민의힘)은 7일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시도별 중도퇴직 교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교직 경력 5년 미만 저연차 교사의 중도퇴직 비율이 꾸준히 상승하며, 조기 이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교욱부 자료에 따르면, 전체 중도퇴직 교원 수는 2020년 6704명에서 지난해 7988명으로 약 19% 증가했다. 이 가운데 5년 미만 저연차 교원 중도퇴직자는 같은 기간 290명에서 380명으로 31% 증가했으며, 비율도 4.3%에서 4.8%로 높아졌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교원 중 저연차 퇴직 비율은 △충남 0.28% △전남 0.27% △경북 0.27%로 지방이 수도권보다 높았다. △서울은 같은 기간 0.04%에서 0.10% △경기는 0.05%에서 0.12%로 증가했으나, 여전히 지방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부산·강원·전북은 교원 중도 퇴사자 수가 감소했다. △부산은 2023년 779명에서 2024년 343명으로 56.0% 줄었고, △강원은 317명에서 209명, △전북은 233명에서 158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다만, 이는 제도 개선 효과라기보다 일시적 통계 변동에 가까운 것으로 분석된다.

김 의원은 "교권 추락,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악성 민원 등으로 교사들이 심리적 압박을 견디기 어렵게 됐다"며 "수업과 생활지도뿐 아니라, 각종 행정업무까지 떠안는 현실에서 젊은 교사들이 교단을 떠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일수록 중도퇴직률이 높은 것은 인력 불균형으로 이어져 교육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며 "교사의 조기 이탈은 단순한 인력 문제가 아니라,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신호"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교직은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리"라며 "교사가 존중받고 사명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권위를 회복하고, 합당한 보상과 제도적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