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세대·소득·성별에 따른 사용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완전 소비’ 독려 나서/홍성군청 제공
민생회복 소비쿠폰 ‘완전 소비’ 독려 나서/홍성군청 제공

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급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 양상이 세대, 소득, 성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의 소비쿠폰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편의점 매출이 크게 늘고 동네 슈퍼마켓 10곳 중 9곳의 매출이 증가하는 등 골목상권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 딥데이터 등에 따르면, 가장 많이 사용된 업종은 편의점(11.3%)이었으며, 의료업종(5.0%), 카페(4.4%), 일반음식점(3.9%)이 뒤를 이었다.

소비쿠폰은 주로 생활 밀착 업종에 집중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편의점의 육류, 간편식 등 식품류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GS25에서는 소비쿠폰 지급 첫날 닭고기 매출이 229.9%, 쇠고기 매출이 136.3% 급증했으며, 세븐일레븐에서도 쌀·잡곡류 매출이 130% 뛰었다.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조사 결과, 소비쿠폰 사용 집중 기간 동안 동네 슈퍼마켓의 90.8%가 전주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세대별 소비 패턴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0~30대는 편의점(20대 32.0%, 30대 37.7%)과 카페(20대 16.0%, 30대 22.9%) 등 접근성이 높은 업종에 소비를 집중했다. 반면 50~60대는 병원과 약국 등 건강관리 업종(50대 11.8%, 60대 12.4%)에서의 결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별 차이도 나타나 남성은 편의점(32.8%) 사용 비율이 높았고, 여성은 카페(17.4%)와 베이커리(7.3%) 등 취향 기반 업종 지출 비중이 컸다.

소득에 따른 소비처도 확연하게 갈렸다. 연소득 10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은 마트·할인점(10.7%) 등 생필품 관련 지출 비중이 높았으며, 평소 구매를 망설이던 필수품을 소비쿠폰을 통해 해결하며 '생계 보조'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연소득 50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은 학원 등 교육 업종에서의 소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비쿠폰은 지난달 21일부터 지급이 시작되었으며, 총 8조2371억 원 규모로 집행됐다. 지난달 31일 오전 11시 기준 지급 대상자의 90%인 4555만 명이 신청을 완료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