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뮴·니켈 등 대기 중 중금속 농도 감소

중금속 농도 비교그래프 /자료제공=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중금속 농도 비교그래프 /자료제공=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13일 도내 7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대기 중금속 측정망의 2024년 분석 결과를 공개하며, 2023년에 비해 전체 중금속 농도가 평균 16.3%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수원, 안산, 평택, 의정부, 안성, 가평, 포천 등 7곳의 산업 및 주거지역에 설치된 측정망을 통해 이뤄졌다.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이상 미세먼지(PM-10) 시료를 채취해 카드뮴, 니켈, 크롬 등 12종의 중금속 농도를 분석했다.



측정 결과, 카드뮴은 2023년 0.00292㎍/㎥에서 2024년 0.00084㎍/㎥로 71.2% 감소하며 가장 큰 폭의 변화를 보였고, 니켈은 20.6%, 크롬은 12.3% 각각 줄어들었다. 이들은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대표적인 유해 중금속으로, 장기 노출 시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시료채취 /사진제공=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시료채취 /사진제공=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또한, 납의 연평균 농도는 0.02942㎍/㎥로, 국내 대기환경기준(연평균 0.5㎍/㎥)의 약 6%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납은 특히 성장기 아동과 노약자에게 위험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내 대기질은 비교적 안전한 상태로 평가된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향후 측정 결과를 대기환경정보서비스를 통해 도민에게 공개하고, 미세먼지 및 중금속 저감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황찬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정확한 측정을 바탕으로 도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실효성 있는 대기질 개선 정책 수립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