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보전원-현대로템-의왕시, 포일습지 복원 ESG실천·환경교육 강화 '맞손'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공공기관과 민간기업·지자체가 손잡고 생태계 복원에 나섰다. 한국환경보전원이 현대로템, 의왕시와 함께 의왕 포일습지를 복원해 멸종위기종 서식지 보전은 물론, 시민 체험과 교육이 어우러진 생태 플랫폼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민관 협력을 통한 ESG 실천의 대표 모델로 주목된다.

한국환경보전원(원장 신진수)은 9일 의왕시청에서 현대로템(대표 이용배), 의왕시(시장 김성제)와 ‘민관협력 자연환경복원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의 실행과제를 민관이 공동 이행하는 첫 사례로 기후위기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정책 흐름에 발맞춰 추진됐다. 특히 ESG 경영을 실천하고자 하는 기업과 생태복원을 지향하는 공공, 그리고 지역거버넌스를 강화하는 지자체가 함께 협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복원 대상지는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 일대로 최근 맹꽁이 산란이 확인되는 등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이번 사업은 생태계보전부담금 반환사업과 연계해, 맹꽁이 서식지 개선 및 시민 참여형 생태교육 공간 조성을 목표로 추진된다.



복원사업은 현대로템의 ESG 기부금을 바탕으로 진행되며, 한국환경보전원이 생태복원 계획 수립 및 전반적인 사업 관리를 맡는다. 의왕시는 대상지를 제공하고, 복원 완료 후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담당한다. 물리적 복원에 그치지 않고, 복원 전후 생태계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가능한 모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단계적으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의 핵심은 ▲맹꽁이 등 멸종위기종 서식처 개선 ▲복원 전·후 생태계 모니터링 ▲시민 참여형 생태교육 콘텐츠 개발 ▲교육·체험·관찰이 가능한 복합 생태공간 조성이다.



이로써 포일습지는 단순한 복원을 넘어, 국민이 생태를 직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도심 속 생태교육 거점’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교육·관찰·참여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생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지역의 환경교육 기반을 넓히는 생활밀착형 모델로 주목된다.



신진수 한국환경보전원 원장은 “이번 사업은 자연환경의 회복은 물론, 생태보전부터 교육·참여까지 전 과정을 포괄하는 ESG 실천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민간 수요 기반의 생태복원 컨설팅을 확대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협약은 지난 6월 출범한 ‘30×30 얼라이언스’ 참여기관 간 첫 민관 공동복원 사례이기도 하다. ‘30×30 얼라이언스’는 2030년까지 지구 전체 면적의 30%를 보호하고 30%를 복원하겠다는 글로벌 생물다양성 보전 목표 달성을 위해 민·관·학계가 참여하는 협의체다. 한국환경보전원과 현대로템의 협력에 의왕시까지 동참하며, 선순환적 민관 거버넌스 모델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