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지역연구원은 15일 ‘경북지역 외국인 현황과 사회통합 과제’를 주제로 한 온라인 세미나를 열고,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을 늦추기 위한 해법으로 외국인의 안정적 유입과 지역 정착을 강조했다. 2024년 12월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265만 명, 전체 인구의 5.1%에 이르지만, 경북의 비중은 3.46%로 제주(4.6%)보다도 낮다.

이날 발표에 나선 딴뚯우 동국대 교수는 “경북권 외국 국적 동포 비중도 12.2%로 전국 평균 19%에 못 미친다”며, “수도권 집중을 막고 경북권으로 외국인을 유도하기 위한 유입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경북 내 등록 외국인 중 29%는 단순기능직, 유학·연수는 22%, 결혼이민은 9%에 그친다.
그는 이어 “숙련인력 유치를 위한 정착비자 신설, 유학생 대상의 취업 연계제도 등 ‘교육-취업-정착’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영찬 동국대 교수는 “입국부터 정착까지 연결되는 비자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며 ‘원스톱 이민지원센터’, 외국인 대상 평생교육 및 장기 고용 연계 인턴십 등 5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정성훈 대구가톨릭대 교수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 외국인 전용기숙사와 문화공간 조성, 통역지원 확대 등 인프라 개선을 강조했고, 김성아 전 동국대 교수는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이중언어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 확대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경북도 외국인공동체과 구자희 과장은 “지자체 주도의 이민정책 전환과 지역 중심 사회통합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며, K-드림외국인센터 등을 통한 정책 다각화를 소개했다.
마무리 발언에서 임배근 한국지역연구원장은 “외국인에 대한 개방성과 연대성을 높여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