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지작사, 공중재보급 임무형태 숙달...전반기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훈련 실시

수송기가 재보급 물자를 목표지점에 공중 투하하고 있다.(사진제공.육군)
수송기가 재보급 물자를 목표지점에 공중 투하하고 있다.(사진제공.육군)

(육군=국제뉴스) 이운안 기자 = 지상작전사령부 겸 지상군구성군사령부(이하 지작사)는 지난 5월 9일부터 16일까지 ‘2025년 전반기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을 실시했다.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은 전시 열악한 지상 병참선을 극복하고 우리 군의 작전 지속지원 능력을 유지 및 발전시키기 위해 지작사 주관으로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훈련이다.

이번 훈련에는 지작사 예하 2·5군단(군수지원여단ㆍ특공연대)·2신속대응사단과 육군항공사령부, 공군작전사령부·공중기동정찰사령부ㆍ공군군수사령부, 美해병대 1해병항공단 등 한미 양국군 장병 220여 명이 참가하였다.

또한, 한미 양국군의 C-130 수송기와 한국군의 CN-235 수송기·CH-47 헬기 등 연합합동 항공전력 10대가 투입되어, 경기 포천·여주, 강원 원주·인제, 경남 김해·의령등 전후방 각지를 오가며 대대적으로 훈련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번 훈련 간에는 기존에 다수 숙달한 △소형물자를 공중에서 낙하산을 활용해 떨어뜨리는 ‘화물투하’ 방식에서 군용차량 등 기동장비를 떨어뜨리는 ‘장비 공중 투하’를 추가하였고,

여기에 △수송헬기에 차량을 인양해 이송시키는 ‘공수인양’ 방식까지다양한 임무형태를 숙달함으로써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능력을 더욱 향상하였다.

아울러, 美해병대 항공전력(KC-130J 수송기)이 최초로 지작사 훈련에 참가하여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능력이 한 단계 더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아군에게 전달할 재보급 물자(탄약, 식량, 의약품 등)를 종류 및 크기별로 구분하여 포장 및 의장을 하고있다.(사진제공.육군)
아군에게 전달할 재보급 물자(탄약, 식량, 의약품 등)를 종류 및 크기별로 구분하여 포장 및 의장을 하고있다.(사진제공.육군)

훈련은 권역별 기동부대의 전술 기동로가 단절된 상황을 가정하여 긴급 물자(전투식량, 탄약, 식수, 의약품 등) 및 장비를 항공기를 활용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보급하는 절차로 진행하였다.

이번 훈련 ‘화물투하’는 재보급 물자 및 장비(군용차량)를 포장·의장 후, 항공기로 정확한 목표지점에 공중 투하해 아군 작전부대가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공수인양’은 수송헬기가 작전부대에 재보급할 ‘소형전술차량’을 목표지점으로 공중수송하면 작전부대가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부대는 성과있는 훈련이 될 수 있도록 훈련 전 항공기 조종사와 지상요원(공정통제사)의 투하좌표 확인, 낙하산 포장검사, 훈련장별 안전통제관 운용 등 안전조치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훈련에 참가한 2군단 특공연대 최문용(중령) 대대장은 “이번 훈련을 통해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능력의 우수성을 체감할 수 있었다.”며, “부대원 모두가 ‘우리 군의 든든한 지속지원으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무를 완수할 수 있다’는 자부심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말했다.

5군수지원여단 김가희(중령) 수송대대장은 “한미 장병의 하나 된 힘으로 어떤 임무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며, “아군이 필요로 한다면 언제, 어디든, 물자 및 장비를 수송할 수 있는 ‘지속지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지작사는 이번 훈련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완 및 발전사항을 논의하고 후반기 훈련에 적용하는 등, 공중재보급 능력 유지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목표지점에 정확히 투하된 재보급 물자를 아군부대가 회수하고 있다.(사진제공.육군)
목표지점에 정확히 투하된 재보급 물자를 아군부대가 회수하고 있다.(사진제공.육군)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