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군=국제뉴스) 이운안 기자 = 지상작전사령부 겸 지상군구성군사령부(이하 지작사)는 지난 5월 9일부터 16일까지 ‘2025년 전반기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을 실시했다.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은 전시 열악한 지상 병참선을 극복하고 우리 군의 작전 지속지원 능력을 유지 및 발전시키기 위해 지작사 주관으로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훈련이다.
이번 훈련에는 지작사 예하 2·5군단(군수지원여단ㆍ특공연대)·2신속대응사단과 육군항공사령부, 공군작전사령부·공중기동정찰사령부ㆍ공군군수사령부, 美해병대 1해병항공단 등 한미 양국군 장병 220여 명이 참가하였다.
또한, 한미 양국군의 C-130 수송기와 한국군의 CN-235 수송기·CH-47 헬기 등 연합합동 항공전력 10대가 투입되어, 경기 포천·여주, 강원 원주·인제, 경남 김해·의령등 전후방 각지를 오가며 대대적으로 훈련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번 훈련 간에는 기존에 다수 숙달한 △소형물자를 공중에서 낙하산을 활용해 떨어뜨리는 ‘화물투하’ 방식에서 군용차량 등 기동장비를 떨어뜨리는 ‘장비 공중 투하’를 추가하였고,
여기에 △수송헬기에 차량을 인양해 이송시키는 ‘공수인양’ 방식까지다양한 임무형태를 숙달함으로써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능력을 더욱 향상하였다.
아울러, 美해병대 항공전력(KC-130J 수송기)이 최초로 지작사 훈련에 참가하여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능력이 한 단계 더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훈련은 권역별 기동부대의 전술 기동로가 단절된 상황을 가정하여 긴급 물자(전투식량, 탄약, 식수, 의약품 등) 및 장비를 항공기를 활용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보급하는 절차로 진행하였다.
이번 훈련 ‘화물투하’는 재보급 물자 및 장비(군용차량)를 포장·의장 후, 항공기로 정확한 목표지점에 공중 투하해 아군 작전부대가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공수인양’은 수송헬기가 작전부대에 재보급할 ‘소형전술차량’을 목표지점으로 공중수송하면 작전부대가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부대는 성과있는 훈련이 될 수 있도록 훈련 전 항공기 조종사와 지상요원(공정통제사)의 투하좌표 확인, 낙하산 포장검사, 훈련장별 안전통제관 운용 등 안전조치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훈련에 참가한 2군단 특공연대 최문용(중령) 대대장은 “이번 훈련을 통해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능력의 우수성을 체감할 수 있었다.”며, “부대원 모두가 ‘우리 군의 든든한 지속지원으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무를 완수할 수 있다’는 자부심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말했다.
5군수지원여단 김가희(중령) 수송대대장은 “한미 장병의 하나 된 힘으로 어떤 임무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며, “아군이 필요로 한다면 언제, 어디든, 물자 및 장비를 수송할 수 있는 ‘지속지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지작사는 이번 훈련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완 및 발전사항을 논의하고 후반기 훈련에 적용하는 등, 공중재보급 능력 유지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