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산업, 다시 날개 달까” 국회서 활력 회복·수출 전략 모색



참석 주요인사들 기념 사진 촬영 (좌측 부터 SK ON 김동현 팀장, LG에너지솔루션 서정인 팀장, HD현대일렉트릭 강화구 담당, 삼성SDI 박성태 파트장,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장재원 상근부회장, 국회의원 김성환, 국회의원 김한규, 한밭대 조영탁 교수, 산업통상자원부 권영희 과장, 건국대학교 박종배 교수, 에너지경제연구원 이대연 실장, LS일렉트릭 손창희 담당)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침체된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의 회복과 글로벌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국회에서 열렸다. 재생에너지 확산과 전력계통 안정화 수요가 커지는 가운데, ESS 산업을 미래 에너지 인프라의 핵심으로 다시 세우기 위한 민관 협력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의 국내외 전략을 모색하는 ‘ESS 국내시장 확대와 수출 활성화 전략’ 주제의 세미나가 지난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한규·김성환·박지혜 의원 공동 주최와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에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회장 구자균)주관으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ESS 시장의 급성장과 침체를 반복해온 흐름 속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고, 해외 주요국의 정책 사례를 통해 글로벌 수출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날 세미나에선 국회의원, 정부 부처, 산업계, 학계 전문가 등 약 40명이 참석해 활발한 논의를 펼쳤다.



김한규 의원은 인사말에서 “ESS 시장 위축의 주요 원인이 화재 사고에 따른 국민 불신”이라며 “신뢰 회복과 수출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국회가 적극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성환 의원은 “분산에너지 특구에서의 실증 성과를 기반으로 VPP(가상발전소) 모델과 수요반응 기반 ESS 확산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발제에 나선 박종배 건국대학교 교수는 ‘국내 ESS 산업의 현황과 정책 과제’ 발표를 통해 “한때 글로벌 ESS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했던 한국이 최근 화재 사고와 정부 지원 축소로 시장이 급속히 위축됐다”며, “장주기 ESS 조달 시장 확대와 전력시장 제도 개편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대연 에너지경제연구원 실장은 미국, 독일, 중국 등 주요국의 ESS 설치 의무화 및 전력시장 참여 정책을 소개하며, “우리도 단순한 보조금에서 벗어나 시장 수익 기반 모델로 전환해야 수출 경쟁력이 생긴다”고 제안했다.



LS일렉트릭의 손창희 담당은 텍사스 500MW급 프로젝트를 포함한 해외 진출 사례를 공유하며,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부족하며, 서비스 기반의 사업모델로 차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ESS 주요 기업과 정부 관계자들은 제도 개선과 산업 생태계 경쟁력 확보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삼성SDI 박성태 파트장은 “ESS 설치 의무화와 전력시장 제도 개편이 시급하다”고 밝혔고, LG에너지솔루션 서정인 팀장은 “국내 화재 안전성은 크게 개선됐지만, 중국 제품 공세 속에 보조금과 산업 보호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SK ON 김동현 팀장은 “미국은 설비 투자에 40% 세액공제를 제공하지만, 국내는 ESS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이 거의 없어 글로벌 경쟁에서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HD현대일렉트릭 강화구 담당은 “ESS 시장에서 중국산 배터리 저가 공세가 심한 가운데, ‘코리아 원팀’ 전략으로 기자재보다 운영 최적화 모델 중심의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업부 권영희 과장은 “올해 540MW 규모 BESS 중앙계약시장 공급이 예정돼 있으며, 장주기 저장장치 믹스 전략, 보조금-수익성 조화 모델 도입, VPP 및 유연성 자원 확산 등 다방면의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최상철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본부장은 “ESS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계통 안정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라며, “산업 생태계의 내수·수출 연계 성장 모델을 위해 정부·국회·산업계의 공동 대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