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안중근 의사 찾기와 과제' 출간 및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의 중요성 재조명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안중근 의사 순국 115주년이자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 80주년, 안중근 의사 찾기와 과제'가 출간됐다. 이 책은 안중근 의사의 유해 발굴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안중근의사찾기 한·중민간상설위원회’가 그간의 연구와 활동을 집대성한 결과물로, 안중근 의사의 정신과 유해 발굴의 당위성, 현재까지의 진행 상황과 향후 과제를 담고 있다.



안중근 의사는 1909년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후, 뤼순 감옥에서 순국하며 “내가 죽은 뒤에 나의 뼈를 하얼빈 공원 곁에 묻어 두었다가 국권이 회복되면 고국으로 반장해 다오.”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러나 광복 8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의 유해는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한국 정부와 중국, 일본 간의 협력 시도가 있었으나, 뚜렷한 성과 없이 답보 상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책은 민간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과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안중근의사찾기 한·중민간상설위원회’는 2023년 9월 설립 이후 한국과 중국의 전문가들이 협력해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을 위한 연구와 현장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들은 뤼순 일아감옥 구지 박물관 주변을 비롯한 후보지 탐사, 한·중·일 학술 세미나 개최, 국제적 협력 방안 모색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의 실마리를 찾고 있다.



이 책에서는 ‘안중근 의사의 생애와 독립 정신’, ‘유해 발굴을 위한 그간의 노력과 한계’, ‘민간 차원의 새로운 접근과 한·중 협력의 가능성’, ‘미래 세대를 위한 안중근 정신 계승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유해 발굴의 시급성을 호소한다. 특히, 시간이 흐를수록 유해 매장지의 지형 변화와 보존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속한 조사와 발굴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안중근의사찾기 한·중민간상설위원회’는 ‘유해 발굴은 단순한 유골 수습을 넘어, 대한민국의 독립 정신을 되새기고 미래 세대에게 역사적 의무를 전하는 일’이라며, ‘정부와 민간, 국제사회의 관심과 협력을 바탕으로 안중근 의사의 유언을 반드시 이루겠다.’라는 의지를 밝혔다.



'광복 80주년, 안중근 의사 찾기와 과제'는 독립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안중근 의사의 희생을 기리는 동시에, 유해 발굴이라는 미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한다.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의 유해가 속히 고국의 품으로 돌아올 날을 바라본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