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7일 오전 10시 도청 한라홀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일자리혁신위원회 회의’를 열어 제주 고용동향과 일자리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사진=제주도]](https://www.gukjenews.com/news/photo/202507/3320983_3440270_81.jp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제주도가 청년이 돌아오는 제주를 위한 일자리 혁신 방안을 지난 7일 발표했다. 제주도는 일자리 정책 혁신을 통해 청년이 돌아오고, 도민이 머무는 제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1차 추가경정예산 230억 원을 투입해 취약계층 고용대응 일자리 사업을 신규로 편성해 추진하고 있고, 건설노동자 1,800명에게 생계안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국비 10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결론은 제주도정 올해 일자리 정책은 청년이 돌아오는 제주에 집중하기 위해 올해 6000개의 목표에 더해 1800개를 늘려 7800개 창출을 목표로 내세웠다. 여기서 도정이 핵심으로 삼은 '청년이 돌아는 제주'에 집중해보자.
제주도 발표한 일자리 정책 중 청년은 직무경험 일자리 중심이다. 그럴듯해 보이는 숫자 뒤에 숨겨진 진실은 무엇인가. 또다시 반복되는 '숫자 놀음'에 제주 청년들은 언제까지 속아야 하는가. 제주도정이 발표한 창출 계획을 뜯어보면 실망스럽다.
# 포장만 화려한 '일자리'의 실체…7800개 일자리 중 절반 이상 임시직, 단기근로자
7,800개 일자리 중 절반 이상이 임시직, 단기근로자, 인턴십 등 불안정한 일자리다. 7,800개든 10,000개든 임시직과 알바를 늘리는 것은 의미 없다. 청년 1,000명이 정규직으로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7,800개 임시직보다 훨씬 가치 있다.
청년들이 원하는 것은 단순하다. 월급 200만원 이상의 정규직, 4대 보험 완비, 승진 기회가 있는 일자리다. 하지만 제주도가 내놓은 대부분의 일자리는 이런 조건과 거리가 멀다. 관광업계 서빙직, 건설현장 일용직을 청년 일자리라고 우기는 것은 현실 인식 부족이다.
제주도정은 청년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진짜 모를까? 아니면 알면서도 외면하는 걸까? 청년 유출 통계를 보면 답이 나온다. 제주를 떠나는 청년들은 서울, 경기, 부산 등 대도시로 향한다. 이유는 명확하다. 양질의 일자리, 다양한 기회, 합리적인 주거비 때문이다.
그런데 제주도는 여전히 '숫자 맞추기'에만 급급하다. 제주도정의 직무경험 기회 확대, 다시 말해 양질의 정규직보다는 단기적 경험 위주의 일자리로 대응하는 정책을 청년 정책이라고 한다면 청년을 기만하는 행위다.
제주도정의 청년 정책은 연례행사가 됐다. 매년 비슷한 발표, 비슷한 예산, 비슷한 실패. 그리고 내년에는 또 숫자만 늘려서 발표한다. 이런 식으로 언제까지 청년들을 우롱할 것인가.
실제로 제주도가 지난 5년간 창출했다는 청년 일자리 중 1년 이상 지속된 정규직 비율은 30%도 안 된다. 나머지는 모두 단기 알바나 임시직이었다. 이것이 청년 정책의 성과인가.
이번 일자리 정책 자체는 분명 고용 위기를 막기 위한 시급한 조치라는 점에서 일정 부분 의미는 있다. 하지만 숫자 중심에서 벗어나 “청년이 돌아올 이유”를 만들어주는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
산업 구조의 전환, 주거·복지와 연계된 일자리 설계, 민간과 협업한 신성장 산업 유치 같은 중장기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래야 구호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로 돌아오는 청년들을 맞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주가 진정으로 청년들이 머물고 싶은 섬이 되려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숫자 맞추기식 정책에서 벗어나 청년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실질적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청년 정
결론적으로, 제주 청년 일자리는 '몇 개' 아니라 '어떤 일자리'를 만들 것인가의 문제다. 청년들은 숫자에 속지 않는다. 이제 제주도정도 현실을 직시해야 할 때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