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동=국제뉴스) 구정욱 기자 =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의 직접 피해도 문제지만 후속 대책이 미비하면 더 큰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하동군은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산사태, 토양 유실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군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먼저 군은 5월 15일부로 2024년 11월 1일부터 이어온 봄철 산불 조심 기간을 공식 종료하고, 이와 함께 가동해 온 산불 대책본부 운영을 마무리했다. 이어 평시 체제로 전환해 향후 산불 발생에 대한 기민한 대응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올해 봄, 특히 3월 말 산청에서 시작돼 하동까지 확산한 대형산불의 여파가 아직 완전히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단순한 진화 완료를 넘어, 피해지 복구와 2차 피해 예방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이번 산불로 하동에서는 총 945헥타르에 달하는 산림이 소실됐다. 피해지역 대부분이 급경사지와 황폐지로 이뤄져 있어 향후 여름철 집중호우 시 산사태 등 2차 재해 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산림청 산사태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옥종면 두양리 등 주요 피해지의 산사태 1·2등급 지역 비율은 산불 전 32.7%에서 45.5%로 12.8%포인트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역은 산불로 인해 나무와 표토가 모두 사라지면서 불투수층이 형성돼, 지반의 빗물 흡수 능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다.
이에 하동군은 10억 원의 재해대책비를 확보해 피해지역에 대한 긴급 복구를 추진 중이며, 정밀 조사를 통해 중장기 산림 재해 예방 및 산림생태계 복원에도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산불 조심 기간은 종료됐지만 군은 상황실과 산불 전문 예방진화대를 5월 말까지, 산불 진화용 임차 헬기를 6월 중순까지 연장 운영하며 산불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당분간 유지할 계획이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lawyer00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