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 '해양모빌리티 시험장 구축' 선정…"부산시와 국가 정책연계 강화"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국립한국해양대학교는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이 주관한 ‘해양신산업 선도 분야 발굴·육성 지원사업’ 공모에서 해양무인기술교육센터의 '해양데이터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해양모빌리티 시험장 구축'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해양대 전경
한국해양대 전경

이 사업은 해양산업을 이끌 신기술 발굴과 육성을 목적으로, 지역 산업과 연계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국립한국해양대의 과제는 해양 데이터를 기반으로 첨단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 해양모빌리티 분야의 기술 수준을 세계적 수준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번 과제를 통해 국립한국해양대는 해양 자율운항 선박, 해상 드론 및 수중 드론 등 미래 유망 분야의 연구개발을 위한 실증적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게 된다.

이는 해양 데이터를 정밀하게 수집하고 인공지능(AI)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해 실시간 해상 환경 모니터링 및 운항 제어 기술 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무인기술교육센터 임요준 부센터장은 "해양모빌리티 시험장은 단순히 기술 실증뿐만 아니라, 향후 부산시가 추진하는 스마트 해양도시 조성사업 및 다양한 국비 지원사업과도 긴밀히 연계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부산이 해양 신산업의 글로벌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과제는 부산시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가정책과도 전략적으로 연계된다.

특히 동삼지구 해양클러스터 단지 활성화를 위한 핵심 프로젝트로 추진돼, 부산의 산업 생태계 고도화 및 국가 해양 전략의 실행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경제 활성화,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 및 신규 인구 유입 효과도 기대된다.

또 지·산·학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지역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해 관련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교육 인프라를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확보되는 인프라와 기술력은 지역 기업들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신규 사업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해양 신산업 분야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는다.

국립한국해양대 류동근 총장은 "국립한국해양대학교의 해양 무인 기술 분야 연구 역량이 이번 과제 선정으로 다시 한번 인정 받았다"며 "대학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를 통해 본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부산시와 국가의 해양산업 발전 전략에도 적극 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한국해양대 해양무인기술교육센터는 그동안 수중 구조물 및 선박검사 기술 표준화, 수중 구역 관리 시스템 개발, 해양안전 및 교통관리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며, 국내 해양 신산업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