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주=국제뉴스) 백성호 기자 = 어느 초등학생(初等學生) 소녀(少女)가 학교(學校)에 가자마자 담임(擔任) 선생(先生)님에게, 길에서 주워 온 야생화(野生花)를 내밀며 이 꽃 이름이 무엇인지 질문(質問)했습니다.
선생님은 꽃을 한참 보시더니 말했습니다. "미안(未安)해서 어떡하지 선생님도 잘 모르겠는데 내일(來日) 알아보고 알려 줄게."
선생님의 말에 소녀는 깜짝 놀랐습니다. 선생님은 세상(世上)에 모르는게 없을 거라 믿었기 때문입니다.
집으로 돌아온 소녀는 아빠에게 말했습니다. "아빠. 오늘 학교(學校)가는 길에 주운 꽃인데 이 꽃 이름이 뭐예요? 우리 학교 담임선생님도 모른다고 해서 놀랐어요."
그런데 소녀는 오늘 두 번이나 깜짝 놀라고 말았습니다. 믿었던 아빠도 꽃 이름을 모른다는 것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소녀의 아빠는 식물학(植物學)을 전공(專攻)으로 대학(大學)에서 강의(講義)하시기 때문입니다.
다음 날 학교에 간 소녀를 담임 선생님이 불렀습니다.
그리고는 어제 질문한 꽃에 대해 자세(仔細)히 설명(說明)해 주셨습니다. 소녀는 아빠도 모르는 것을 잊어버리지 않으시고 알려 준 선생님이 역시 대단하다고 감탄(感歎)했습니다
그런데 사실(事實)은 어젯밤 소녀의 아빠가 선생님에게 전화(콜)하여 그 꽃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해주었던 것이었습니다.
아빠는 그 꽃이 무엇인지 당연(當然)히 알고 있었지만 딸이 어린 마음에 선생님께 실망(失望)하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던 것입니다.
학교 교육(敎育)과 가정(家庭) 교육은 백(百)년(年)의 약속(約束)입니다.백년의 미래(未來)를 위해 백 년의 시간(時間)을 준비(準備)하는 길고 긴 과정(過程)이 바로 교육이기 때문입니다.
가정 교육과 학교 교육이 잘 연계(連繫)되고 조화(調和)를 이루어 가정에서는 스승을 존경하도록 가르치고 학교에서는 부모님을 공경(恭敬)하도록 가르치면 이상적(理想的)인 인성교육(人性敎育)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지금 필요(必要)한 우리 대한민국의 교육(敎育) 현장입니다.
5월 15일은 스승의 날 입니다.
스승과 부모를 존경(尊敬)하는 것을 가르치는 미래(未來)의 교육이 바로우리나라 백년대계(百年大計)에 뿌리내릴 우리들의 덕목(德目)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